2025년부터 군인들의 월급이 인상되면서, 군인연금 납부액(기여금)도 함께 증가하게 됐습니다.군인연금은 장기 복무 군인의 노후를 위한 중요한 보장 수단이지만, 현역 시절부터 매달 일정 금액을 납부해야 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번 기사에서는 2025년 기준 군인연금의 납부 구조, 기준소득월액 산정 방법, 그리고 기여금 계산 예시까지 군 복무자라면 꼭 알아야 할 정보를 하나씩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
군인연금 기여금이란?
군인연금은 일반 공무원연금과 달리, 국방의무를 수행하는 직업군인을 위한 전용 연금 제도입니다.
기여금은 군인이 매달 납부하는 연금 보험료 개념으로, 노후 연금 수령을 위한 사전 납부액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025년 군인연금 기여금 납부율
- 기여율: 기준소득월액의 7%
- 납부 주체: 군인 본인
- 납부 기간: 현역 복무 기간 중 매월
기준소득월액이란?
군인연금 기여금과 연금 수령액의 기준이 되는 금액은 단순 ‘월급’이 아닙니다.
‘기준소득월액’이라는 개념이 적용되며, 이는 복무 중 받은 실제 소득을 평균하여 산정됩니다.
기준소득월액 산정 공식
(전년도 과세소득액
– 8개 평균 대상 보수 연간소득액
+ 공무원 직종·직급별 8개 보수 평균액)
÷ 12
× (1 + 공무원 보수 인상률)
📌 여기서 말하는 ‘8개 보수 항목’이란:
성과상여금, 시간외근무수당, 정근수당, 연가보상비, 초과근무수당 등 군인 복무 중 수당을 의미합니다.
📈 2025년 군인 보수 인상률
2025년에는 병사와 간부를 포함한 전 계급에 대한 급여 인상이 단행됩니다.
계급 범위 | 인상률 |
병사 (E-1 ~ E-4) | 14.5% ✅ |
간부 포함 기타 계급 | 4.5% |
📌 병사들은 최저임금에 가까운 실수령액을 보전받기 위해 큰 폭으로 인상되었으며, 간부 및 장교급은 안정적 인상 수준을 유지합니다.
기여금 계산 예시 (2025년 기준)
▶ 하사 기준 예시
- 기준소득월액: 2,000,000원
- 기여율: 7%
- 기여금: 2,000,000원 × 0.07 = 140,000원
👉 즉, 하사는 매월 14만 원씩 군인연금 기여금을 납부하게 됩니다.
군인연금 수령 조건과 인상률
군인연금은 20년 이상 복무 후 퇴역한 군인에게 퇴역연금 형태로 지급되며,
수령액은 매년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조정됩니다.
▶ 2025년 연금 인상률
- 2024년 소비자물가상승률 기준
- 2025년 연금 인상률: 2.3%
📌 연금 수급자는 기존 수령액에 2.3%가 인상된 금액을 2025년부터 받게 됩니다.
군인연금 vs 공무원연금 차이점은?
구분 | 군인연금 | 공무원연금 |
기여율 | 7% | 9% |
퇴직 후 수령 | 복무기간 20년 이상 | 재직기간 10년 이상 |
위험 보장 요소 | 전사·공상 시 별도 보상 | 없음 (산재 처리 기준) |
군인연금은 국가안보와 생명을 지키는 직무 특수성을 반영해 우대 조건이 적용됩니다.
추가 정보 확인 방법
군인연금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경로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국방부 군인연금 홈페이지: www.mnd.go.kr
- 군인연금 담당 부서 상담: 국방부 인사복지실 또는 군인복지팀
- 기준소득월액 확인: 소속 부대 인사처 문의 또는 국방부 연금 시스템
📝 마무리 요약
2025년 군인연금 기여금은 기준소득월액의 7%
군인의 급여가 오르면 기여금도 함께 오른다
- 납부 기준: 기준소득월액 × 7%
- 봉급 인상: 병사 14.5%, 간부 4.5%
- 연금 수령 조건: 복무 20년 이상
- 연금 인상률: 2025년 기준 2.3%
📌 군 복무 중인 간부, 장기복무자, 전역 예정자는
기여금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고, 복무 기간별 연금 시뮬레이션을 미리 해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