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공무원연금 지급일 2025

by 티스02 2025. 4. 24.

 

2025년 공무원연금은 매월 25일을 기준으로 수급자에게 지급된다. 다만, 지급일이 토요일 또는 공휴일인 경우에는 전날 지급되기 때문에, 수급자들은 미리 월별 지급일정을 확인하고, 금융계좌 관리 및 소득 신고 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공무원연금공단은 2025년도 월별 예상 연금 지급일과 연금 인상률, 주의사항 등을 안내하며, 수급자들이 놓치기 쉬운 세부 정보를 사전에 숙지할 것을 당부했다.


2025년 월별 공무원연금 지급 예정일

지급월  지급 예정일  비고
1월 1월 24일 (금) 25일이 토요일
2월 2월 25일 (화)  
3월 3월 25일 (화)  
4월 4월 25일 (금)  
5월 5월 23일 (금) 25일이 일요일
6월 6월 25일 (수)  
7월 7월 25일 (금)  
8월 8월 25일 (월)  
9월 9월 25일 (목)  
10월 10월 24일 (금) 25일이 토요일
11월 11월 25일 (화)  
12월 12월 24일 (수) 25일이 성탄절(공휴일)

연금 수급일은 매월 25일을 원칙으로 하며,토요일, 일요일, 공휴일과 겹치는 경우 전날에 입금된다.
예를 들어, 2025년 12월의 경우 성탄절이 수급일과 겹쳐 24일(수요일)에 지급된다.


연금 수령 방법 및 계좌 변경 유의사항

공무원연금은 수급자 본인 명의의 은행 계좌로 자동 입금된다.
수령 계좌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매월 20일까지 신청을 완료해야 해당 월에 반영된다.

  • 계좌 변경 기한: 매월 20일
  • 변경 방법: 공무원연금공단 홈페이지 또는 고객센터 통해 신청
  • 주의사항: 법인 계좌 또는 타인 명의 계좌 사용 불가

2025년 공무원연금 인상률: 2.3%

2025년도 공무원연금은 전년도 대비 2.3% 인상되었다.
이는 전전년도 대비 전년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반영한 결과로,공무원연금법에 따라 매년 1월 연금액이 물가 변동률에 따라 조정된다.

📌 예시:
2024년에 월 250만 원 수령하던 수급자 → 2025년에는 약 256만 원 수령


수급자 주의사항: 정지 사유와 신고 의무

공무원연금 수령 중에는 특정 조건에서 연금 일부 또는 전액이 정지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대표적인 연금 정지 및 감액 사유

  1. 소득 발생 시 일부 정지
    • 사업, 임대, 기타소득 발생 시 연금액 일부 감액 또는 정지
  2. 공무원 재임용 시 전액 정지
    • 정년 후 다시 공무원으로 근무할 경우 연금 지급 정지
  3. 정부 출자·출연기관 재취업 시 감액
    • 특정 공공기관 취업 시 연금 일부 정지 가능
  4. 퇴직 연도 종합소득신고 필수
    • 근로소득 + 연금소득을 합산 신고해야 함
    • 누락 시 가산세 또는 환수 발생 가능
  5. 부부 공무원 연금 수급자
    • 각각 연금 수급 가능하나, 한 명 사망 시 유족연금은 감액될 수 있음

연금 지급 문의처

연금 관련 문의나 지급일 확인, 미지급 발생 시에는 아래로 연락 가능하다.


📝 정리 한줄 요약

2025년 공무원연금은 매월 25일 지급되며, 토요일·공휴일인 경우 전날 지급됩니다.

연금 수급자들은 월별 예상 지급일을 사전에 확인하고, 계좌 정보 변경, 소득 발생 여부, 종합소득신고 등 신고 및 변경 사항을 미리 점검해야 불이익 없이 안정적인 연금 수급이 가능하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