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공무원연금은 매월 25일을 기준으로 수급자에게 지급된다. 다만, 지급일이 토요일 또는 공휴일인 경우에는 전날 지급되기 때문에, 수급자들은 미리 월별 지급일정을 확인하고, 금융계좌 관리 및 소득 신고 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공무원연금공단은 2025년도 월별 예상 연금 지급일과 연금 인상률, 주의사항 등을 안내하며, 수급자들이 놓치기 쉬운 세부 정보를 사전에 숙지할 것을 당부했다.
2025년 월별 공무원연금 지급 예정일
지급월 | 지급 예정일 | 비고 |
1월 | 1월 24일 (금) | 25일이 토요일 |
2월 | 2월 25일 (화) | |
3월 | 3월 25일 (화) | |
4월 | 4월 25일 (금) | |
5월 | 5월 23일 (금) | 25일이 일요일 |
6월 | 6월 25일 (수) | |
7월 | 7월 25일 (금) | |
8월 | 8월 25일 (월) | |
9월 | 9월 25일 (목) | |
10월 | 10월 24일 (금) | 25일이 토요일 |
11월 | 11월 25일 (화) | |
12월 | 12월 24일 (수) | 25일이 성탄절(공휴일) |
✅ 연금 수급일은 매월 25일을 원칙으로 하며,토요일, 일요일, 공휴일과 겹치는 경우 전날에 입금된다.
예를 들어, 2025년 12월의 경우 성탄절이 수급일과 겹쳐 24일(수요일)에 지급된다.
연금 수령 방법 및 계좌 변경 유의사항
공무원연금은 수급자 본인 명의의 은행 계좌로 자동 입금된다.
수령 계좌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매월 20일까지 신청을 완료해야 해당 월에 반영된다.
- 계좌 변경 기한: 매월 20일
- 변경 방법: 공무원연금공단 홈페이지 또는 고객센터 통해 신청
- 주의사항: 법인 계좌 또는 타인 명의 계좌 사용 불가
2025년 공무원연금 인상률: 2.3%
2025년도 공무원연금은 전년도 대비 2.3% 인상되었다.
이는 전전년도 대비 전년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반영한 결과로,공무원연금법에 따라 매년 1월 연금액이 물가 변동률에 따라 조정된다.
📌 예시:
2024년에 월 250만 원 수령하던 수급자 → 2025년에는 약 256만 원 수령
수급자 주의사항: 정지 사유와 신고 의무
공무원연금 수령 중에는 특정 조건에서 연금 일부 또는 전액이 정지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대표적인 연금 정지 및 감액 사유
- 소득 발생 시 일부 정지
- 사업, 임대, 기타소득 발생 시 연금액 일부 감액 또는 정지
- 공무원 재임용 시 전액 정지
- 정년 후 다시 공무원으로 근무할 경우 연금 지급 정지
- 정부 출자·출연기관 재취업 시 감액
- 특정 공공기관 취업 시 연금 일부 정지 가능
- 퇴직 연도 종합소득신고 필수
- 근로소득 + 연금소득을 합산 신고해야 함
- 누락 시 가산세 또는 환수 발생 가능
- 부부 공무원 연금 수급자
- 각각 연금 수급 가능하나, 한 명 사망 시 유족연금은 감액될 수 있음
연금 지급 문의처
연금 관련 문의나 지급일 확인, 미지급 발생 시에는 아래로 연락 가능하다.
- 공무원연금공단 고객센터: ☎ 1588-4321
- 공식 홈페이지: https://www.geps.or.kr
📝 정리 한줄 요약
2025년 공무원연금은 매월 25일 지급되며, 토요일·공휴일인 경우 전날 지급됩니다.
연금 수급자들은 월별 예상 지급일을 사전에 확인하고, 계좌 정보 변경, 소득 발생 여부, 종합소득신고 등 신고 및 변경 사항을 미리 점검해야 불이익 없이 안정적인 연금 수급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