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25년도 법원직 공무원 시험일정 과목 업무 자격 경쟁률
마루01
2025. 1. 20. 03:19
법원직 공무원은 대한민국 법원에서 행정적 역할을 수행하는 국가직 공무원으로, 법원의 원활한 운영을 지원하고 국민의 권리 보호와 법률 적용을 돕는 데 기여합니다. 법원사무직과 등기사무직으로 나뉘며, 각각의 업무와 근무처가 다릅니다.
법원직 공무원 직렬별 정보
직렬 | 근무처 | 주요 업무 |
법원사무직렬 | 서울 및 각 지방 법원 | 소송기록 접수, 조서 작성, 기록보관, 소송 관련 증명서 발급, 송달 등 |
등기사무직렬 | 각급 법원 산하의 등기소 | 부동산 등기, 법인 등기 관리, 호적 및 가사 관련 업무 |
- 법원사무직은 재판업무 보조와 행정 업무를 담당하며,
- 등기사무직은 등기소에서 부동산 및 법인 등기 관련 행정 업무를 수행합니다.
응시 자격
- 연령: 만 18세 이상 (2025년 시험 기준, 2007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 학력/경력: 제한 없음
- 결격 사유: 국가공무원법 제33조에 해당하지 않는 자
(※ 법원 공무원 규칙에 의해 응시 자격이 정지된 자는 시험 응시 불가)
시험 절차
법원직 공무원 시험은 3단계로 진행됩니다. 1차와 2차 필기시험, 3차 면접시험으로 나뉘며, 영어와 한국사는 대체 시험 성적을 제출해야 합니다.
단계 | 내용 |
1차 시험 | 선택형 필기시험: 헌법, 민법, 형법, 영어(대체), 한국사(대체) |
2차 시험 | 논문형 필기시험: 법원사무직은 행정법, 민법, 형법, 민사소송법, 형사소송법 / 등기사무직은 행정법, 민법, 상법, 민사소송법, 부동산등기법 |
3차 시험 | 인성검사 및 면접시험: 인성검사 참여 필수 (불참 시 면접 응시 불가) |
영어/한국사 대체 시험 기준
- 영어: TOEIC 700점 이상 / TOEFL IBT 71점 이상 / G-TELP Level 2의 65점 이상
- 한국사: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2급 이상
- ※ 시험 시행일 기준 3년 이내 취득한 점수만 인정.
시험과목
법원사무직렬
교시 | 시험시간 | 과목 |
1교시 | 10:00~11:40 | 헌법, 국어, 한국사, 영어 |
2교시 | 14:00~15:40 | 민법, 민사소송법, 형법, 형사소송법 |
등기사무직렬
교시 | 시험시간 | 과목 |
1교시 | 10:00~11:40 | 헌법, 국어, 한국사, 영어 |
2교시 | 14:00~15:40 | 민법, 민사소송법, 상법(총론 및 회사법), 부동산등기법 |
선발인원 및 경쟁률
최근 3년간 법원직 공무원 선발인원과 경쟁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도 | 법원사무직 | 등기사무직 | 법원사무직 경쟁률 | 등기사무직 경쟁률 |
2022년 | 383명 | 31명 | 13.5 : 1 | 19.3 : 1 |
2023년 | 269명 | 23명 | 13.5 : 1 | 19.3 : 1 |
2024년 | 329명 | 28명 | 13.5 : 1 | 19.3 : 1 |
2025 시험 일정 예상
최근 시험 일정 기준으로, 2025년 시험 일정은 아래와 같이 예상됩니다.
단계 | 예상 일정 |
원서 접수 | 2025년 3월 경 |
필기시험 | 2025년 6월 21일 (토) |
인성검사 | 2025년 7월 경 |
면접시험 | 2025년 7~8월 경 |
법원직 공무원의 장점
- 진급 속도:
법원직 공무원은 7급 공채가 없기 때문에 비교적 빠르게 진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업무의 독립성:
각 업무가 명확히 분리되어 있어, 독립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 법무사 자격 취득 가능:
일정 기간 근무 후 법무사 자격을 취득할 수 있어 퇴직 후에도 다양한 진로를 모색할 수 있습니다.
결론
법원직 공무원은 법원의 행정 업무를 통해 국민의 권리를 보호하고 법률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에 기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025년 시험에 도전하려는 수험생은 영어/한국사 대체 시험 준비, 논문형 필기시험 대비, 면접 대비를 철저히 하여 좋은 결과를 얻으시길 바랍니다. 꾸준한 준비와 체계적인 계획이 성공의 열쇠입니다. 😊